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
트랜잭션2

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- 데이터 모델과 SQL 정규화(Normalization) - 데이터 정합성(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고 보장) 을 위해 엔티티의 작은 단위로 분리하는 과정이다. - 정규화를 할 경우 데이터 조회성능은 처리조건에 따라 향상되는 경우도 있고, 저하되는 경우도 있지만 입력, 수정, 삭제 성능은 일반적으로 향상된다고 볼 수 있다. 그렇다고 모든 엔티티를 무작정 분리하면 안 되기 때문에 정규화를 하기 위한 일정한 룰이 존재한다. (1) 제 1 정규화 - 모든 속성은 반드시 하나의 값만 가져야 한다. (2) 제 2 정규형 - 엔티티의 모든 일반속성은 반드시 모든 주식별자에 종속되어야 한다. 주 식별자가 단일 식별자가 아닌 복합식별자인 경우 일반속성이 주식별자의 일부에만 종속되면 안된다. (3) 제 3 정규형 - 주식멸자가 아닌 모.. 2024. 2. 23.
[Spring] Service의 정의와 역할 (+ 트랜잭션) [Spring] Service의 정의와 역할 (+ 트랜잭션) [트랜잭션] 트랜잭션이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한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의미 [@Service란] @Service는 스프링의 비즈니스 로직 처리에서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구간이며, @Repository에 속하는 여러 메서드들을 하나의 작업 단위로 묶어 처리되는 데이터 작업 중 하나라도 실패하게 된다면 Rollback 시키고 모두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Commit 시켜준다. [******* 별이 다섯개~~ 구간 ******] @Service구간이 정상적으로 구현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는 도중 데이터 처리와 관련된 에러가 발생하더라도일부 데이터만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습니다. - @Transactional 어노.. 2023. 4. 7.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