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
업무2

[업무관리] 위험관리 - 육각형 개발자 조금만 더 하면 될 것 같은 마음에 금방 된다고 말했지만 실제로 완료하는 데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릴 때가 많다. 본인이 느끼기에 뭔가 잘 진행되지 않거나 모르는 게 있을 때 또는 명확하지 않은 점이 생겼다면 위험 신호라고 여겨야 한다. 위험 신호를 감지하면 빠르게 공유해야 한다. 어떻게 개발해야 할지 감을 못 잡고 있으면서 어떡해서든 혼자 해보겠다고 발버두 치면 안 된다. 오히려 문제를 더 키울 분이다. 관리자 입장에서 우선순위가 낮은 업무라면 수시로 상태를 확인하지 않을 수도 있다. 따라서 스스로 위험 신호를 감지하면 즉시 공유해야 한다. 그래야만 관리자가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. 관리자에게 위험에 대비할 수 이쓴 시간을 주지 않으면, 위험을 피하고자 무리수를 두게 되고 자칫 잘못하면.. 2023. 10. 16.
[업무관리] 업무 나누기 - 육각형 개발자 하나의 일을 주면 처음부터 끝까지 책임지는 것이 기본이다. 개발자는 요구 사항 분석부터 구현, 출시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관리하고 마무리해야한다. 여리서 책임은 혼자서 모든 일을 다 해야 한다는 뜻이 아니다. 일이 진행될 수 잇게 관리해야 한다는 뜻이다. 업무나누기 위험 관리 요구사항 이해 및 변경 대응 일정 관리 (또는 계획) [업무 나누기] 경험이 쌓이면 더 큰 업무가 주어지는데 작은 기능 단위로 주어지던 일이 작은 서비스를 만드는 수준으로 커진다. 큰 서비스 개발에 참여할 때는 일부 기능 집합을 맡은 식이다. 개발 규모가 커졌을 대 하는 실수 중 하나가 생각나는 대로 개발하는 것이다. 작은 일을 만아서 할 때는 체계적으로 진행하지 않아도 일을 완료할 수 있다. 일을 진행하기 위한 정리 작업은 .. 2023. 10. 13.
728x90
반응형